장종익. 2023. { 협동조합 경영론}, 박영사
책소개
이윤추구기업의 대안으로서의 협동조합기업의 지속가능한 원리는 무엇인가? 협동조합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기업으로서 지속적으로 발전하도록 만드는 데 기여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이러한 원리와 요인들은 이윤추구기업의 지속가능 원리 및 요인들과 무엇이 다르며 어느 측면이 유사한가? 기존의 경제학 및 경영학적 지식이 이러한 질문에 대하여 어떠한 답을 제공할 수 있을까? 이 책은 주식회사와 구별되는 고유한 특성을 지닌 협동조합기업의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기제를 기존의 이론적 문헌과 실증 문헌, 그리고 협동조합의 성공 사례와 실패 사례를 분석하여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저자소개
저자 약력
현직
한신대학교 글로벌비즈니스학부 및 대학원 사회적경영학과 교수
학력
ㆍ 미주리주립대학교, 농업 및 응용경제학 박사
ㆍ 연세대학교, 경제학 학사 및 석사
경력 및 수상
ㆍ 현 고용노동부 사회적기업육성위원회 위원
ㆍ 현 고용노동부 고용보험기금·산재보험기금 자산운용위원회 위원
ㆍ 현 경기도 사회적경제위원회 위원장
ㆍ 현 경기연구원 비상임이사
ㆍ 현 한국협동조합학회 부회장, 전 편집위원장
ㆍ 전 기획재정부 협동조합정책심의회 위원
ㆍ 전 대통령 일자리위원회 사회적경제전문위원
ㆍ 전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비상임이사
ㆍ 전 캐나다 HEC 몬트리올 비즈니스 방문 교수
ㆍ 전 (사)한국협동조합연구소 사무국장, 소장
ㆍ 전 한살림사업연합 감사, 전 행복중심생협연합회 감사
ㆍ 한국사회적기업학회 우수논문상 수상(2017. 1)
ㆍ 한신대학교 우수교원 수상(2021. 5)
대표적 저역서
ㆍ 장종익 외, 『이탈리아와 독일 협동조합 100년 성공의 비결』, 동하, 2019.
ㆍ 장종익 외, 『비즈니스모델로 본 영국 사회적기업』, 알마, 2015.
ㆍ 장종익, 『협동조합 비즈니스전략: 개념, 모델, 사례』, 동하, 2014.
ㆍ 장종익 역, 『21세기의 대안, 협동조합운동』, 들녘, 2003.
대표적 논문
장종익, 2021, “프리랜서의 직업적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 분석과 정책적 함의,” 『노동정책연구』 21(6): 33-61.
장종익, 2020, “협동조합형 소매체인의 상대적 장점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협동조합연구』 38(2): 155-175.
장종익, 2019, “사회적경제 개념에 관한 고찰: 비영리섹터 개념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적기업연구』 12(3): 35-61.
장종익, 2018, “제4차 산업혁명과 협동조합 4.0시대의 도래: 프리랜서협동조합과 플랫폼협동조합의 등장,” 『한국협동조합연구』 36(3): 117-134.
Jang, J., T. Kim, H. Hong, C. Yoo, and J. Park, 2018, “Statistical Estimation of Causal Effects of Social Economy on Subjective Well-Being,” VOLUNTAS: International Journal of Voluntary and Nonprofit Organizations , 29(3): 511-525.
Jang, J., 2017, “The Emergence of Freelancer Cooperatives in South Korea,” Annals of Public and Cooperative Economics , 88(1): 75-89.
장종익, 2012 “협동조합기본법 제정이후 한국협동조합의 역할과 과제,” 『동향과 전망』, 86: 289-320.
목차
머리말 i
I. 협동조합의 특성과 경영의 주요 요소 1
이 장에서 탐구하려고 하는 질문 3
1. 기업이론과 조직경제학 5
1) 시장과 기업, 그리고 거버넌스 5
2) 기업 소유형태의 다양성 9
3) 기업조직 경영의 주요 요소 14
2. 협동조합기업의 특성과 유형 17
1) 협동조합적 소유형태의 독특성과 협동조합의 유형 18
2) 결사와 기업의 혼종성 25
3) 협력과 연대를 특징으로 하는 협동조합섹터 29
3. 협동조합 비즈니스의 가치 창출의 원천 31
1) 전략경영과 기업의 지속가능성의 원천 31
2) 협동조합적 소유 효과 33
3) 조합원 간 협력과 연대 35
4) 협동조합 간 협동과 연대 39
4. 협동조합 경영의 주요 요소와 협동조합의 약점 43
1) 협동조합 경영의 주요 요소 43
2) 협동조합의 약점과 협동조합 경영에의 함의 46
요약 50
생각해볼 거리 57
II. 협동조합 비즈니스 전략과 조직구조 59
이 장에서 탐구하려고 하는 질문 61
1. 전략과 조직에 관한 이론과 협동조합에의 적용 63
비즈니스 전략의 주요 요소와 전략 수립과정 63
2) 기업조직의 네 가지 근본 과제와 최근 기업조직의 특징 69
3) 사업자협동조합에서의 전략과 조직 논의의 특수성 74
2. 협동조합 경쟁 우위의 원천을 실현한 사례와 시사점 76
1) 협동조합적 소유효과 활용 사례와 시사점 76
2) 조합원 간 협력과 연대 활용 사례와 시사점 85
3) 협동조합 간 협력과 연대 활용 사례와 시사점 99
3. 협동조합의 조직확대 추구와 제약 조건 108
1) 협동조합의 규모 확대와 집단적 의사결정 비용의 상충관계 108
2) 협동조합에서의 규모의 경제 및 범위의 경제 실현 전략 112
요약 118
생각해볼 거리 123
III. 조합원 참여전략과 협동조합의 거버넌스 125
이 장에서 탐구하려고 하는 질문 127
1. 조합원의 참여와 협동조합 경영 129
1) 조합원 참여의 중요성과 조합원 참여의 네 가지 차원 129
2) 조합원의 협동조합 사업 이용 참여 130
3) 조합원 간 협력 활동에의 참여 132
4) 협동조합 의사결정에의 조합원 참여 137
5) 인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관한 사회심리학 및 게임이론
연구의 결과 141
6) 소결: 조합원의 참여를 촉진하는 방안과 네 가지 참여 차원
간의 균형 146
2. 협동조합 거버넌스의 특성 156
1) 기업의 성장과 투자자소유기업의 기업 지배구조의 논리 156
2) 협동조합의 참여적 거버넌스의 특징 160
3) 협동조합 거버넌스 구축의 성공 사례 163
4) 협동조합 거버넌스 구축의 실패 사례 169
5) 사례로부터의 시사점 175
3. 협동조합의 리더십 178
1) 리더와 리더십 178
2) 협동조합에서의 리더십과 적극적 조합원의 유지 전략 179
요약 182
생각해볼 거리 188
IV. 협동조합의 재무 전략 189
이 장에서 탐구하려고 하는 질문 191
1. 협동조합 자기자본의 특성과 그 원인 193
1) 협동조합 출자금의 특성과 협동조합 정체성 193
2) 협동조합 내부유보 및 비분할적립금의 특성 197
3) 협동조합 명목 자본의 부채 논쟁 203
2. 자본조달의 주요 특성과 진화 206
1) 협동조합 자본조달의 주요 방법 206
2) 협동조합 내부로부터의 자본조달 방법 207
3) 협동조합 외부로부터의 자본조달 방법 215
4) 최근 협동조합 자본조달의 진화와 이슈 219
3. 협동조합에서의 수익배분의 특성과 주요 이슈 225
1) 협동조합과 주식회사의 수익배분의 유사점과 차이점 225
2) 잉여 배분구조가 협동조합의 지속가능성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230
4. 협동조합에서의 투자의 특성과 주요 이슈 232
1) 투자자소유기업과 협동조합의 투자문제의 차이점 232
2) 협동조합 투자에 있어서 기간문제에 대한 두 가지 관점 235
요약 237
생각해볼 거리 245
V. 협동조합의 창업과 진화 247
이 장에서 탐구하려고 하는 질문 249
1. 협동조합 창업과 주요 이슈 251
1) 창업단계 기업의 특성과 기업 창업의 성공과 실패 요인 251
2) 협동조합 창업의 특성과 프로세스 254
3) 최근 국내 협동조합 설립의 현황과 이슈 262
2. 성숙 이후 단계 협동조합의 진화와 주요 이슈 266
1) 성숙 이후 단계 협동조합이 직면하는 과제와 진화 경로 266
2) 협동조합 진화의 성공과 실패 사례 273
3) 시사점 277
요약 280
생각해볼 거리 284
VI. 협동조합의 성과와 생태계 조성전략 285
이 장에서 탐구하려고 하는 질문 287
1. 협동조합 성과의 다 차원성과 측정의 어려움 289
1) 협동조합 재무제표를 활용한 성과 측정의 한계와 조합원의 중요성 289
2) 협동조합의 목적 유형에 따른 성과의 다양성 292
2. 협동과 연대의 촉진에 기여하는 법과 정책 298
1) 협동조합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한 생태계의 구성 요소 298
2) 한국 협동조합 관련 법체계와 협동조합기본법의 주요 내용 301
3) 협동조합의 정체성 유지와 성과 제고를 위한 법과 제도의 개선방향 308
요약 315
생각해볼 거리 319
맺음말: 협동조합 성공의 13대 전략 320
참고문헌 325
색인 351
책 속으로
머리말
최근에 신자유주의, 불평등, 공동체의 약화, 그리고 2008년 세계금융위기에 대한 대응의 일환으로 협동조합은 여러 나라에서 많은 업종과 분야에서 다양한 유형으로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장종익, 2014; Zamagni, 2017; ICAEuricse, 2019). 우리나라에서도 2012년 12월에 협동조합기본법이 시행된 이후 8년 1개월 만인 2020년 말 기준으로 19,449개의 협동조합이 설립되었다.
소상공인이나 소기업가들이 자신들이 운영하는 사업체의 규모의 영세성 문제를 동종 혹은 이종업체의 종사자들의 협력을 통하여 해결하고자 설립한 소상공인 및 소기업가의 협동조합, 통번역가 · IT개발자 · 웹디자이너 · 강사 등이 일감의 공동 수주 및 소득 증진을 위하여 설립한 프리랜서들의 협동조합, 그리고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 의료 및 돌봄서비스 제공, 지역공동체 증진을 위한 사회적협동조합 등 많은 분야에서 다양한 유형으로 설립되고 있다.
그러나 기획재정부와 통계청의 조사에 따르면, 2018년 말 기준으로 설립된 14,526개의 협동조합 중에서 54.2%인 7,050개의 협동조합만이 실제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안주엽과 길현종, 2019). 협동조합이 대안기업으로서 지속가능해야만 질 좋은 고용의 창출 및 유지, 사회통합형 고용의 창출, 참여형 사회서비스의 제공, 지역공동체성의 회복 등의 목적이 실현될 수 있는데, 협동조합의 경영에 대한 우리 사회에서의 지식과 노하우는 아직 충분하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즉, 이윤추구기업의 대안으로서의 협동조합기업의 지속가능한 원리는 무엇인가? 협동조합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기업으로서 지속적으로 발전하도록 만드는 데 기여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이러한 원리와 요인들은 이윤추구기업의 지속가능 원리 및 요인들과 무엇이 다르며 어느 측면이 유사한가? 기존의 경제학 및 경영학적 지식이 이러한 질문에 대하여 어떠한 답을 제공할 수 있을까? 이 책은 주식회사와 구별되는 고유한 특성을 지닌 협동조합기업의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기제를 기존의 이론적 문헌과 실증 문헌, 그리고 협동조합의 성공 사례와 실패 사례를 분석하여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에서 출간된 협동조합에 관한 단행본은 주로 대중서이고 학술서는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다. 이론적 토대에 근거하지 않고 해외 협동조합의 다양한 사례를 간략히 소개하는 수준의 단행본들로는 『협동조합, 참 좋다』 (김현대외, 2012)와 『협동조합 성공과 실패의 비밀』(김용진 외, 2016)이 있으며, 『이탈리아와 독일 협동조합 100년 성공의 비결』(장종익 외, 2019)은 협동조합의 유형론과 협동조합의 가치창출 및 소유 비용에 관한 이론에 근거하여 이탈리아와 독일의 협동조합 성공사례를 분석한 단행본이다. 『협동의 경제학』(정태인 외, 2013)은 대중서와 학술서의 중간 성격의 도서로서 행동경제학과 게임이론에 기반하여 인간의 협동을 촉진시키는 조건과 기제에 관하여 알기 쉽게 서술하고 있으나 협동조합이라고 하는 기업의 발전원리를 구명하지는 않고 있다. 『협동조합 비즈니스전략: 개념, 비즈니스모델, 사례』(장종익, 2014)는 Hansmann(1996)의 이론과 협동조합에 관한 경제학,경영학, 사회학 문헌 등에 기반하여 협동조합이 등장한 배경과 다양한 유형의 협동조합이 운영되는 기본 모델을 서술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협동조합에 관한 해외 학자의 단행본 저술도 번역되어 소개되어 있다. 『People - Centerd Business: Cooperatives, Mutuals, and the idea of Membership』(Birchall, 2011)은 사회정책 및 역사학적 관점에서 소비자협동조합, 금융협동조합, 생산자협동조합, 노동자협동조합 등 여러 유형의 협동조합의 성장과 쇠퇴에 관한 세계사적 흐름을 알 수 있게 해주는 단행본이고, 『Cooperative Enterprise: Facing the Challenge of Globalization』(Zamagni 외, 2010)은 경제사상적 관점에서 협동조합의 사회적 가치에 대하여 서술하고 이탈리아를 포함한 여러 나라에서 협동조합이 성장하여 사회적 순기능을 발휘하고 있는 점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2017년에 국내에 번역되어 소개된 Hansmann(1996)의 학술서인 『The Ownership of Enterprise』는 경제학과 법학의 관점에서 주식회사뿐만 아니라 협동조합 및 비영리 기업 등으로 기업소유권의 형태가 다양하게 나타난 이유와 근거를 구명하여 주식회사와는 다른 소유형태의 협동조합기업이 어떠한 원리에 의하여 조직되는지를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데 적지 않은 도움을 준다. 그러나 한스만의 책은 기업의 소유권 행사에 따른 비용 중에서 집단적 의사결정 비용에 초점을 맞춘 반면, 조합원 간의 다양한 형태의 협동과 그에 따른 협동의 편익 및 가치에 대한 연구를 담고 있지 못하며, 최근에 등장하여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프리랜서협동조합, 플랫폼협동조합, 사회적 협동조합, 연대협동조합, 코뮤니티협동조합 등에 대한 논의를 포함하지 않고 있다.
이 책이 협동조합의 경영에 대하여 탐구하고자 하는 13가지의 질문은 다음과 같다.
1. (비즈니스 측면에서의 협동조합의 본질) 비즈니스 측면에서 협동조합은 주식회사와 무엇이 다르며, 이것의 경영적 함의는 무엇인가?
2. (조합원소유와 비즈니스) 협동조합 소유형태의 단점과 장점 중에서 어떻게 장점을 비즈니스 성공으로 연결시킬 수 있을까?
3. (비즈니스에서의 인적 결합의 원리) 주식회사는 자본의 결합인 반면에 협동조합은 인적 결합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인적 결합의 정체성을 어떻게 비즈니스 성공으로 연결시킬 수 있을까? 즉, 조합원 간 협력 혹은 동료와 더불어 함께 일하는 협동의 가치를 어떻게 비즈니스 성공으로 연결시킬 수 있을까?
4. (무임승차자문제) 협동조합에의 조합원의 참여 없이는 협동조합의 성공은 어렵다. 조합원의 참여를 저해하는 요인과 촉진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평등뿐만 아니라 형평과 연대의 가치를 추구하는 협동조합에서 다양한 조합원의 참여를촉진하는 방안은 무엇인가?
5. (조합원의 참여 및 협력과 규모의 경제 추구 간의 길항관계) 비즈니스는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지 않으면 지속가능하기 어렵다. 인적 결합체인 협동조합은 규모를 확대하면 조합원의 협력과 연대가 저하될 수 있는데 이러한 딜레마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가?
6. (지배구조) 다수의 평등한 의사 결정권을 지닌 조합원의 민주주의는 비즈니스의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을 저해하는 것은 아닌가? 그리고 주인으로서 조합원의 역량이 중요한 협동조합에서 세대교체가 이루어지면 협동조합의 지속가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의사결정에의 조합원의 참여와 전문경영인의 판단 및 집행이 어떻게 조화되어 비즈니스 성공으로 연결시킬 수 있을까?
7. (자본조달과 잉여의 배분) 한정된 수의 조합원으로부터 자본을 조달하게 되면 협동조합의 운명은 소규모로 정해지는 것 아닌가? 협동으로 창출한 가치는 어떠한 원리로 배분하는 것이 바람직할까?
8. (협동조합 창업의 딜레마) 임팩트가 강한 협동조합의 성공적인 창업은 뛰어난 역량을 가진 설립자의 엄청난 열정과 헌신을 요구하지만 주식회사와 달리 그 경제적 보상은 1/n에 불과한데 누가 임팩트가 강한 협동조합 창업에 뛰어들겠는가? 성공적인 협동조합 비즈니스 개발자가 그 재능과 성과를 동료 일꾼과 나누게 만드는 요인은 무엇일까?
9. (협동조합의 세대 간 연대와 지속가능성) 정글자본주의에서 동료와 함께 일하고 세대 간에 걸쳐 연대하는 협동조합을 어떻게 확산시킬 수 있을까? 협동을 통한 비즈니스 성공이 어떻게 세대 간에 걸쳐서 이어지게 할 수 있을까?
10. (협동조합 간 협력과 연대) 기업 간 경쟁을 원리로 하는 지배적인 자본주의 시장 에서 협동조합기업 간 협력과 연대를 어떻게 실현할 수 있는가?
11. (협동조합의 진화와 퇴행) 성숙기 이후 협동조합이 변화된 환경에 적응하는 과제 실현뿐만 아니라 투자자소유기업으로의 동형화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12. (협동조합의 성과 측정) 협동조합은 조합원 중심의 비즈니스이고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방식의 비즈니스라고 할 때, 조합원 및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협동조합의 성과를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13. (협동조합과 정부의 역할) 정부는 협동조합이라는 법인격에 대하여 지원해야 하는가? 정부가 협동조합을 지원해야하는 타당한 근거와 논리는 무엇인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사회적으로 이로운 협동조합을 꽃피우기 위하여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제1장에서는 조직경제학에 입각한 기업이론을 검토하고 기업조직 경영의 주요 요소를 소개한 후 협동조합기업의 특성을 투자자소유기업과 비교하여 도출하며, 이러한 특성의 경영에의 함의에 대하여 서술한다. 그리고 이러한 협동조합 기업의 특성에 입각하여 가치 창출의 원천에 대하여 소개하고 협동조합의 주요 유형에 대하여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협동조합기업조직의 장단점에 대하여 소개하고 장점을 잘 발휘하고 단점을 보완하는 경영전략에 필요한 주요 요소에 대하여 정리한다. 제2장에서는 협동조합의 사업전략과 조직구조에 대하여 다루고, 제3장에서는 조합원 참여전략과 협동조합의 거버넌스에 대하여 서술한다. 제4장에서는 협동조합의 재무전략에 대하여 다루고, 제5장에서는 협동조합 창업과 진화에 대하여 다룬다. 마지막 장에서는 협동조합의 성과 측정과 생태계 조성전략에 대하여 다룬다.
2023년 2월
주수원 2023 [협동조합 경영론] 협동조합 경영을 고민하는 이들과 함께 읽고 싶은 책 < 협동조합 이론과 역사 읽기 < 협동조합 < 비즈니스 < 기사본문 - 소셜임팩트뉴스 입력 2023.04.20 05:32 수정 2023.04.21 14:45
'사회적 경제 연대 > 협동조합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런 협동조합은 오래갈 수 없습니다 [협동조합 정관 풀이 1] 자주적·자립적·자치적이 담긴 2조의 의미 (0) | 2025.03.26 |
---|---|
연결과 협력으로 더 좋은 공동체를 만드는 사회적 플랫폼 협동조합, 디지털 광장, 빠띠 (0) | 2025.03.13 |
어반 드로잉 + 현수막 만들기 (디자인툴 망고보드 활용 디자인 + 출력) (2) | 2024.11.27 |
탄탄한 협동조합 만들기 (1) | 2024.09.03 |
협동조합, 뭐가 좋은가? ... 제도개선 제안 (0) | 2024.08.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