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햇빛발전594

신안 주민참여 이익공유 태양광 발전사업 사례 분석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이강욱(기후변화대응에너지전환협동조합)] '신안 주민참여 이익공유 태양광발전사업 사례 분석' 입니다.  기후변화행동연구소 > 쟁점과 이슈 (https://climateaction.re.kr/news01/1694296)에  '신안 주민참여 이익공유 태양광발전사업 사례 분석'이라는 제목으로 2023.09.21 15:17:45에 등록 게시된 것으로 나타납니다. 저자: 이강욱(기후변화대응에너지전환협동조합)  신안군의 주민참여 이익공유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은 신안군 정책 추진의 독특한 산물입니다. 신안군의 주민참여 이익공유 재생에너지 발전사업 정책은 신·재생에너지 발전정책뿐만 아니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관계라는 지방자치제도와 관련하여서도 연구해봄직합니다. 여기 소개하는 신안군의 주민참여 이익공유.. 2025. 1. 27.
경상남도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2024~2033)상 경남 재생에너지 확대 전략 경상남도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2024~2033)상 경남 재생에너지 확대 전략입니다.중점과제 '9. 재생에너지 발전설비 보급 확대' 아래 세부사업명 '17.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지원사업', '18. 신재생에너지 주택지원사업', '19. 신재생에너지 건물 지원사업', '20. 주민참여형 마을공동체 발전소 조성사업', '21. K-RE100 선언 기업 조기정착 및 활성화를 위한 실증단지 조성'이 들어 있으며, 각 사업의 연차별 성과지표, 온실가스감축량, 배경 및 필요성, 사업추진 방향, 세부사업 (개요, 추진주체, 추진기간, 소관부서(에너지사업과))이 제시되어 있고, 감축원단위, 재정투자계획이 명시되어 있는데, 2023년부터 2033년까지 10년간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으로 매년 4,000 kW.. 2025. 1. 17.
전력자립 '분산에너지 특구' 공모 임박 [서울경제 조원진 기자] 입력 2025.01.12 12:00:28 수정 2025.01.12 12:00:28https://m.sedaily.com/NewsView/2GNNYCZ6UD 전국 뉴스: 정부의 분산에너지특화지역(분산특구) 공모가 임박한 가운데 지방자치단체들이 유치 경쟁에 돌입했다. 분산특구는 태양광, 풍력,..." data-og-host="m.sedaily.com" data-og-source-url="https://m.sedaily.com/NewsView/2GNNYCZ6UD" data-og-image="https://scrap.kakaocdn.net/dn/ckKJeY/hyX4u1JRgW/3q84K1DTmW4pGNPr5HUpT0/img.jpg?width=640&height=375&face=0_0_6.. 2025. 1. 15.
전력계통난 해소 하루가 급한데…국회에 발목잡힌 BESS [전자신문 최호 기자 ] 발행일 : 2025-01-06 15:00 지면 : 2025-01-07 6면 https://www.etnews.com/20250106000331 전력계통난 해소 하루가 급한데…국회에 발목잡힌 BESS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송전망 확충 지연 등으로 인해 전력계통 안정성이 크게 저하되고 있는 가운데 대안으로 지목되는 전력 유연성 자원의 도입이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사업 근거www.etnews.com  6일 전력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가 2026년 전력계통 진입을 목표로 추진 중인 배터리에너지저장시스템(BESS) 설치 사업이 궤도에 오르지 못하고 있다.BESS는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대형 배터리다.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원의 증가, 송전망 확충 지연 등으로 인한 전력 계.. 2025. 1. 7.
정부 주도로 연 평균 6GW 재생e 보급 추진 (산업통상자원부, 2024.05)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 2024년 5월 발표한 입니다.  I. 추진배경: '전세계적으로 탄소중립, 에너지안보의 핵심수단으로 재생에너지 확대' 요구 확산되고, 보급 확대에 따라 재생에너지 발전단가 하락, 각국의 재생e 정책 추진에 따라, 우리도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달성 위한 재생e 본격적 확산 필요를 강조하고 있습니다.II. 정책환경:   1. 정부 목표 대비 보급 지연, 높은 비용에 따른 국민 부담 증가   2. 국내 공급망 구축으로 에너지 안보 확보 및 해외 진출기반 마련 필요   3. 시장 환경은 급변하고 있어, 제도적 뒷받침이 요구되는 시점 III. 추진 전략  IV. 정책 방향   의 목차: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및 공급망 확산 전략 (산업통상자원부, 2024.05) PDF 원문:  관련 기.. 2025. 1. 2.
더딘 탈탄소, 빨라진 기후위기…‘재생’ 바람 불까 [한겨레 기후 ‘쫌’ 아는 기자들 박기용 기자] 2024.12.26. Q. 2025년엔 기후환경 분야에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A. 황당하기 짝이 없는 비상계엄과 탄핵으로 모두가 혼이 나간 와중에, 어느덧 연말연시가 됐습니다. 내년엔 또 어떤 일들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을까요? 녹색전환연구소가 26일 발간하는 ‘2025 기후에너지 10대 전망과 제언’을 참고해 기후환경 분야 내년 주요 의제들을 정리해봤습니다.  ‘2025 기후에너지 10대 전망과 제언’을 발간하며 녹색전환연구소는 2023년부터 매년 ‘기후에너지 10대 전망과 제언’을 발간해왔습니다. 새해를 시작하면서 연구원들이 1년 동안 핵심이 될 만한 10가지 기후와 에너지 관련 의제를 선정하고, 분석과 제언을 담아 이슈브리프를 준비해왔습니다.   202.. 2024. 12.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