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경남 석탄화력발전소 현황

by 심상완 2025. 2. 23.

전력통계정보시스템 EPSIS에 보니 굉장히 다양한 자료가 정리되어 있습니다. 여기에서 경남 유연탄화력 발전소 현황 관련 정보를 모아 약간 재가공해 여기 공유합니다. 아마 꾸준히 update할테니 시일이 지나면 EPSIS에서 up-to-date한 자료를 직접 참조하길 권합니다. 그런 데이터를 찾아보는 데 다소나마 도움을 주는 안내가 되길 바랍니다.

제가 이 자료를 찾아보게 된 것은 오늘 지난 2월 13일 민주노총 경남본부에서 주최한 "석탄화력 폐쇄라고 노동자 삶까지 폐쇄할 거냐" 민주노총 경남본부 '발전소 노동자들의 고용보장 대안을 위한 토론회'에 대한 오마이뉴스 윤성효 기자의 보도 기사를 접하면서였습니다.

 

"석탄화력 폐쇄라고 노동자 삶까지 폐쇄할 거냐"

"석탄화력발전소는 폐쇄돼도 노동자의 삶까지 폐쇄할 수는 없다." 기후위기 대응으로 환경오염을 가중하고 있는 석탄화력발전소 폐쇄가 추진되는 가운데, 이곳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이 대책 마

www.ohmynews.com

 

   이 기사에 따르면, "경남은 하동화력 8호기, 삼천포화력 4호기, 고성하이 2호기를 포함해 14호기의 석탄화력 발전소가 운영되고, 이는 전국 광역지자체 가운데 두 번째로 많다. 정부는 화력발전 폐쇄를 추진하고 있다."하고,  "산업통상자원부는 2023년 확정된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2026~2031년 사이 삼천포화력 4기, 하동화력 6기를 차례대로 폐쇄하기로 했다." 하는데... 이런 이야기를 간간히 듣기는 하지만, 그 현황이 어떤지, 무슨 문제가 있는지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음을 절감했습니다. 그래서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알아보자고 나섰고, 그런 기초 지식을 공유하자는 취지에서 몇자 적어 기록을 남깁니다. 

 

전력통계정보시스템 EPSIS > 발전설비 탭을 클릭한 다음 화면 좌측 최상단의 '연료원별'을 선택하면  연료원별 그래프: '누적그래프', 주기: '월'이 디폴트로 선택된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에 제시되는 정보는 전국 데이터로 보이니, 그 밑의 선택지들 중 주기: 월 --> 년으로 그리고 지역별: 합계 --> 경남으로 변경하여 선택하면, 하단에 연도별 경남 연료원별 발전설비(용량) 데이터 표(단위: MW)가 나옵니다.   이 데이터 표는 엑셀, 또는 csv 포맷으로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위 데이터도 유익하지만 이 사이트에서 발전소 별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즉,  전력통계정보시스템 EPSIS > 발전설비 탭을 클릭한 다음 화면 좌측에 제시된 탭 중 네번째 '발전기별' 탭을 클릭한 다음 화면에서 지역별: 통합 --> 경남으로 변경하고, 기준일자: 당일(2025-02-23)로 조회하면,  당일 기준 경남지역의 발전기별 정보가 제시되는데 시간이 좀 소요됩니다. 이렇게 뽑은 2025.02.23 현재 경남 발전소별 발전설비 현황 자료입니다. 이에 따르면, 오늘 현재 경남에는 모두 14기의 석탄화력 발전기 (총 설비용량 8,200 MW)가 있으며 2026~2031까지 10기의 석탄화력 발전기가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의해 연차적으로 폐지되는데 모두 석탄에서 LNG로 연료전환하도록 계획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석탄 화력이 LNG로 연료 전환하는 계획은 그대로 지켜볼 수만은 없는 문제점이 도사리고 있습니다.  LNG 발전도 석탄보다는 적지만 온실가스를 상당히 많이(석탄 배출량의 약 75%) 배출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정부는 지난 제10차 전기본에서 2030년까지 전체 발전량 중 LNG 발전을 22.9%(142.4TWh)로 확대하고, 2036년까지는 9.3%(62.3TWh)로 축소하겠다는 방침을 내놨습니다 (LNG발전 '양날의 칼'..."좌초자산만 키운다" vs. "에너지 전환과정에 필요" https://www.esgeconomy.com/news/articleView.html?idxno=6717) . 얼마전에 확정된 제11차 전기본에서는 어떠한가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