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 태양광발전사업 허가현황 자료(공공데이터포털https://www.data.go.kr/dataset/15034001/fileData.do)
에 따르면, 2019년 말 현재 창원시내에 허가된 태양광발전사업의 누적 설비용량은 약 76 MW로 집계된다. 2007년부터 연도별 허가 추이를 살펴보면, 2010년까지는 미미한 수준이었고, 2011년 이후 조금씩 늘어나기 시작했으나 2016년까지는 기껏해야 한해 5~6 MW 수준에 불과했다. 하지만 2017년 26.2 MW로 치솟았고, 2018년 8.3 MW, 2019년 18.1 MW 등 창원시 태양광발전사업 누적 허가 설비용량의 69.1%에 해당하는 52.6 MW가 2017년 이후 최근 3년 동안 집중적으로 들어섰음을 볼 수 있다. 이는 문재인정부의 정책적 지원에 크게 힘입은 것이다.
2019년 말 현재 창원시 태양광발전사업 허가 현황을 구별로 나눠보면, 진해구 21.7 MW (28%), 성산구 20.3 MW (27%)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다음으로 의창구 16.8 MW, 마산합포구 11.5 MW, 마산회원구 5.7 MW의 순으로 나타난다.
경상남도 창원시 태양광발전사업 허가현황 (20191218) | ||||||
(설비용량 계, 단위: kW) | ||||||
허가연도 | 마산합포구 | 마산회원구 | 성산구 | 의창구 | 진해구 | 계 |
2007년 | 99.0 | 99.0 | ||||
2008년 | 34.4 | 34.4 | ||||
2009년 | 19.6 | 28.0 | 9.6 | 19.2 | 76.4 | |
2010년 | 99.3 | 29.9 | 129.2 | |||
2011년 | 800.0 | 800.0 | ||||
2012년 | 1,047.7 | 1,239.3 | 237.1 | 747.0 | 3,271.0 | |
2013년 | 92.4 | 190.9 | 3,054.8 | 2,413.6 | 798.6 | 6,550.3 |
2014년 | 553.2 | 494.2 | 2,169.1 | 608.0 | 799.0 | 4,623.5 |
2015년 | 322.9 | 791.3 | 360.9 | 766.3 | 67.6 | 2,309.0 |
2016년 | 3,424.7 | 1,704.2 | 291.2 | 148.5 | 5,568.6 | |
2017년 | 2,794.7 | 661.4 | 3,078.7 | 2,555.6 | 17,139.7 | 26,230.0 |
2018년 | 1,468.2 | 769.1 | 3,114.8 | 2,613.6 | 311.2 | 8,276.9 |
2019년 | 1,916.6 | 1,792.1 | 5,517.3 | 7,202.4 | 1,645.7 | 18,074.1 |
계 | 11,491.6 | 5,746.6 | 20,297.0 | 16,830.9 | 21,676.4 | 76,042.4 |
자료: 공공데이터포털, https://www.data.go.kr/dataset/15034001/fileData.do |
2019년 말 현재 창원시내에 허가된 태양광발전사업의 누적 설비용량은 약 76 MW로 집계된다. 2007년부터 연도별 허가 추이를 살펴보면, 2010년까지는 미미한 수준이었고, 2011년 이후 조금씩 늘어나기 시작했으나 2016년까지는 기껏해야 한해 5~6 MW 수준에 불과했다. 하지만 2017년 26.2 MW로 치솟았고, 2018년 8.3 MW, 2019년 18.1 MW 등 창원시 태양광발전사업 누적 허가 설비용량의 69.1%에 해당하는 52.6 MW가 2017년 이후 최근 3년 동안 집중적으로 들어섰고 이는 문재인정부의 정책적 지원에 크게 힘입은 것이라 할 수 있다.
'에너지 뉴스 > 지역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남도 제6차 지역에너지계획 - 2025년까지 9.3% 에너지 소비감축 목표와 10.9%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목표 (0) | 2020.02.24 |
---|---|
감염학회 등 범학계 "위기경보 심각단계 격상 필요...다중 모이는 사회활동 자제" (0) | 2020.02.23 |
경남도, 제3차 녹색성장 5개년 계획 수립 용역 2020년 3월까지 (0) | 2020.01.19 |
국민 56% "전기료 올라도 환경이 먼저" (0) | 2019.11.18 |
재생에너지 전환 기업과 협동조합에 대한 적극적 지원 등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 (0) | 2019.1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