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김영배 기자] 등록 2022-06-22
올해 925억…2025년까지 1조
대대적 일감·수출 지원키로
정부가 22일 원자력발전 산업에 대한 대대적인 지원 방안을 들고나왔다. 원전 협력업체에 올해 중 925억원, 2025년까지 총 1조원 이상의 일감을 공급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삼고 있다. 문재인 정부 시절 ‘탈원전 기조’ 탓에 관련 기업들이 고사 상태에 빠져 있다는 명분을 들어 원전산업 지원에 시동을 건 모양새다.
정부 지원 방안 중 올해 긴급 발주하기로 한 925억원의 일감은 원전 예비품(필요할 때 쓰려고 준비해둔 물품)과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를 위한 설계 등과 관련돼 있다. 신한울 3·4호기 사업은 8조2600억원을 들여 1400㎿(메가와트)급 한국 신형 원전(APR1400) 2기를 짓는 내용이며 7천억원가량 투자된 상태에서 2017년 공사가 중단됐다. 산업부는 “2025년까지 1조원 이상의 일감을 추가 공급하고 최대한 조기에 계약을 체결하는 한편, 대규모 원전 일감이 창출되는 신한울 3·4호기는 전력수급 기본계획 반영 등 절차를 거쳐 조속히 발주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정부는 원자력 연구·개발(R&D)에 올해 6700억원, 2023~25년 3조원 이상을 투자하기로 했다. 정부는 또 소형모듈원전(SMR)의 독자모델 개발·상용화를 위해 2028년까지 3992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중소기업 정책자금, 기술보증, 협력업체 융자 지원 등 올해 중 3800억원 규모의 유동성을 원전업계에 공급한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중소 원전업체에는 정책자금 500억원을 공급하고 특례보증 500억원을 신설하는 등 총 1천억원 규모의 긴급 정책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정부는 또한 원자력 연구·개발에 대학 참여를 확대하고 고준위방폐물 융합대학원을 내년에 신설해 석·박사 인력을 매년 20명가량 키워내기로 했다. 원자력 관련 학과 졸업생들이 원전산업에 유입되도록 인턴 채용 및 정규직 전환 지원, 원전기업 재직자의 역량 강화, 퇴직 인력 및 현장 실무 인력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 인건비의 40~80%를 4~6개월 동안 지원한다는 내용도 발표했다.원전 수출 확대 방안도 제시됐다. 다음달 민관 공동의 ‘원전수출 전략추진단’을 구성해 수주 역량을 결집하고, 주요 수출 전략국에 거점 공관을 두어 전담관을 파견하기로 한 게 그 일환이다. 또 원전 기자재 업체의 글로벌 공급망 진입을 뒷받침하기 위해 맞춤형 입찰정보 시스템을 올해 하반기에 가동하기로 했다.
원문 출처: 윤 대통령 “탈원전, 5년간 바보짓”…‘대놓고 저격, 1조 지원’ : 산업·재계 : 경제 : 뉴스 : 한겨레 (hani.co.kr)
보도/해명 |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 (motie.go.kr)
'햇빛발전 > 정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하반기 소형태양광 고정가격계약 매입 참여 공고 (0) | 2022.08.05 |
---|---|
2023년도 신재생에너지보급지원(융복합지원)」사업 수요조사 (1) | 2022.07.02 |
민주 "재생에너지 길 안 가면 윤석열 정부 5년 바보짓' (0) | 2022.06.24 |
윤 정부 에너지 정책의 전도 (0) | 2022.05.24 |
죽어가고 있는 소농을 햇빛이 살릴 수 있다 [태양광 농지 파괴의 전말②] 소형 영농형 햇빛발전, 농지 파괴 태양광 막을 현실적 대안 (0) | 2022.04.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