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햇빛발전/언론에 비친 햇빛발전

'화력 의존증' 탈피해야 경남이 산다

by 경남햇발 2015. 6. 1.

 

'화력 의존증' 탈피해야 경남이 산다

경남에 두 번째 햇빛발전소가 세워진다. 경남햇빛발전협동조합은 창원종합버스터미널 옥상에 햇빛발전소를 설립하려고 현재 조합원을 모으고 있다. 협동조합 전점석 이사장과 함께 발전소 설치 예정지인 창원터미널 옥상을 둘러봤다.

◇햇빛발전소 2호 = 지난해 3월 말 진해종합사회복지관 옥상에서는 '경남 1호 햇빛발전소' 준공 축하 행사가 열렸다. 2013년 1월 창립한 경남햇빛발전협동조합이 1년여 만에 거둔 결실이었다. 경남에선 처음으로 민간에서 주도한 태양광발전 시설로 주목받았다. 설비 용량 70㎾급으로 1억 7000여만 원이 투입돼 만들어졌다. 200명 정도가 조합원 등으로 참여했다.

지난해 말까지 6만 5519㎾h를 생산했고, 전량 판매해 1853만 원 수익을 올리기도 했다. 이처럼 햇빛발전소는 태양광을 활용해 전력을 생산하고, 이를 한국전력공사에 직접 팔거나 여러 발전사에 공급인증서(REC)를 건네고 수익을 낸다.

창원종합버스터미널에 들어설 햇빛발전소는 2호다. 협동조합이 창원시설관리공단과 협의해 옥상 사용에 관한 임대차 계약을 맺었고, 창원에 본사를 둔 쏠라이앤에스㈜를 시공 업체로 선정했다.

경남햇빛발전협동조합 전점석(오른쪽) 이사장이 두 번째 햇빛발전소 건립 예정지인 창원종합버스터미널 옥상에서 설명을 하고 있다. 사진은 고장 나 방치돼 있는 태양열 온수 보일러. /박일호 기자 iris15@idomin.com

 

이제 행정에 발전소 건립사업을 허가받는 과정만 남았다. 43㎾급 햇빛발전소가 세워질 계획이다. 허가 이후 공사에 들어가면 3개월 안에는 마무리될 전망이다. 이 과정에서 기존 터미널 옥상에 설치돼 있으나 고장이 나 방치된 태양열 온수 보일러 시설은 철거된다.

2호 발전소 시설비는 약 1억 원으로 예상한다. 계좌당 10만 원 이상으로, 조합원 모집은 이달 말까지 이뤄질 계획이다. 그러나 출자금은 2000만 원을 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중순부터 조합원을 모집했는데, 여태까지 40∼50명 수준이다. 모두 100∼150명은 돼야 하는데, 참여가 저조한 상황이다. 나머지 비용은 조합원 차입금 또는 은행 융자로 마련할 예정이다.

터미널을 두 번째 발전소 건립 장소로 택한 것은 태양광산업에 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서다. 유동인구가 많은 터미널에 햇빛발전소를 둬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흥미까지 이끌어내려는 취지다. 최근 경남햇빛발전협동조합은 터미널 들머리에서 조합원 모집과 발전소 건립사업 홍보 활동을 벌였다. 또 터미널 옥상은 남향이어서 태양광발전 시설 입지로 만족스러웠다. 앞으로 발전소 건립에 출자 등으로 참여한 이들의 이름은 터미널 입구에 붙인다. 아울러 햇빛발전소 현판을 부착하고, 전력 생산량 등을 보여주는 현황판도 달 예정이다.

햇빛발전소 건립의 가치는 대물림되고도 있다. 부모가 자녀 이름으로 조합원 계좌를 만들어준 가정도 있었다. 또 협동조합은 이후 새 발전소 건립 예정지로 공공기관뿐만 아니라 학교도 알아보고 있다.

전 이사장은 "부모가 대신 조합원 가입 신청을 해주거나 딸 대학 입학 선물로 주는 예도 있었다. 출자 증서는 아이나 자녀한테 직접 전달한다"며 "아이들이 지금은 잘 모를 수 있지만, 차츰 그 가치를 알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합원 모집 문의는 055-261-6230.

◇신재생에너지 확대, 경남도 적극 나서야 = 경남햇빛발전협동조합 창립과 잇따른 햇빛발전소 건립에는 이유가 있다. 경남은 에너지자립도가 높지만, 화력발전 중심이다.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미미하다. 이 때문에 탄소 배출량은 전국 광역지자체 가운데 화력발전소가 많은 인천에 버금간다.

경남도가 신재생에너지 보급과 확대 정책을 제대로 수립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 이사장의 이야기다. "경남의 에너지자립도는 210%다. 원전은 하나도 없지만, 하동과 삼천포 발전소 등으로 석탄·석유·가스 비중이 95∼96%다.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얼마 안 된다. 전국 지자체 탄소 배출 통계표를 보면 당연히 경남은 상위에 있다. 네덜란드는 원전과 동시에 화력발전소도 폐쇄 중이다. 경남도 역시 정책이나 사업계획에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해야 한다."

이와 관련해 UN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는 올 12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다. 이때 모든 나라는 탄소 배출 감축량 계획을 발표한다. 1990년대와 비교해 스위스는 50%, EU는 40% 등으로 벌써 계획을 밝히는 나라도 있다. 우리나라도 계획을 내놓아야 한다.

"탄소 배출 감축 계획 등을 달성하기 위한 국가 에너지계획이 수립되는데, 경남에는 에너지기본조례에 따라 5년마다 경남도 에너지 계획이 세워진다. 4차 경남 에너지 계획은 올해로 끝난다. 5차 계획 수립 전에 민간 의견을 수렴할 텐데, 그동안 신재생에너지 시장이나 시민 관심이 커졌기에 이번에는 화석연료 사용 감축 등 목표치는 올려잡고, 에너지 절약에 관한 시민 참여는 강화해야 한다. 소비자에 머물렀던 사람이 생산자가 될 수 있도록 조건에 맞는 모든 집에 태양광 시설을 설치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벽도 낮춰야 한다."

무엇보다 경남도가 의지를 보여야 한다는 목소리다. "2013년 말 기준 통계를 보면 국민 전체 에너지 사용량 중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독일이 25∼30%다. 이런 곳에선 기름값이 요동쳐도 산업에 지장이 없다. 이와 비교해 우리나라는 3.75%밖에 안 된다. 경남도민만 따지면 2.05%로 더 낮다.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이는 게 도정 역점사업이 돼야 한다. 공공건물은 모두 신재생에너지를 쓰고, 100㎾ 이하 소형 태양광 발전에는 협동조합 방식 등으로 시민이 참여할 수 있도록 확산 정책을 펴야 한다."

(경남도민일보, 2015년 5월 27일 수요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