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에너지 뉴스/에너지전환

발전5사 발 빠른 에너지 전환…폐쇄 발전소 활용 방안은 ‘거북이 걸음’

by 심상완 2025. 2. 15.

[쿠키뉴스 김재민 기자] 기사승인 2025-02-10 06:00:09

 

- 10차 전기본, 2036년까지 석탄화력발전소 28기 단계적 폐쇄
- 폐쇄 발전소 불필요한 유지비용 투입, 부지 활용 계획은 아직
- 정부, 인프라 재활용 계획 담은 로드맵 1분기 내 발표 예정

[...]

 

20세기 전력 공급의 대부분을 담당하며 대한민국 산업을 이끌어 온 석탄화력발전은 기후위기의 주범으로 꼽히며 글로벌 탄소중립 전환 요구에 따라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는 추세다. 2020년 전후로 40%대였던 발전 비중 역시 지난해 기준 24.7%로 급감했다.

빠른 에너지 전환을 위해 발전5사는 올해 주요 경영 방침으로 ‘무탄소에너지 확보’를 꼽고 전국 각지에서 수소·LNG발전을 위한 MOU를 체결하고 있다. 한국서부발전과 중부발전 등에선 경영혁신위원회, 2040년 New 비전 등을 토대로 체질 개선을 가속하고 있다. 다만 이와 동시에 진행되고 있는 석탄화력발전소 중단·폐쇄에 대한 세부 대책 마련은 상대적으로 더딘 모습이다. 

 

남동발전은 지난 2021년 폐쇄한 삼천포 1·2호기의 연간 유지비용으로 약 3억5000만원을 지출, 4년간 약 14억원의 유지비용을 들여온 것으로 추산된다. 아직 가동 중인 삼천포 3·4호기 운영에 필요한 설비가 1·2호기에 있어 유지관리비용이 투입되고 있지만, 내년으로 예정된 3·4호기 폐쇄 전까진 관련 유지비용 투입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아울러 남동발전은 3·4호기를 대체할 1120MW(메가와트) 규모의 LNG발전소를 현재 건설 중이나, 폐쇄될 3·4호기 부지 자체에 대한 활용 계획은 아직까지 없는 상태다. 오는 2027년과 2028년 각각 삼천포 5호기와 6호기의 폐쇄도 예정돼 있어 업계에선 6호기가 폐쇄돼야 철거 등 전반적인 논의가 가능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남동발전 관계자는 “폐쇄 석탄화력발전소 부지에 대한 활용 계획은 사실 저희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부분은 아니다”라며 “1·2호기에 이어 내년 3·4호기 폐쇄가 단계적으로 예정돼 있는 만큼, 이 시간 동안 이것을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한 것은 정부 차원에서 논의하고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

 

에너지업계 한 관계자는 “폐쇄 석탄화력발전소에 대한 철거 및 유지비용 규모가 막대한 데다, 향후 폐쇄 예정인 석탄화력발전소의 수도 점차 늘어나고 있어 지금부터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면서 “특히 해당 부지의 경우 송배전망 및 주민수용성을 이미 갖춘 곳이기 때문에 경제적 측면에서도 이를 활용하는 방안이 논의돼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정부도 마냥 손을 놓고 있는 것은 아니다. 앞서 제10차 전기본을 통해 노후 석탄발전소의 좌초자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휴지보전 제도 등을 검토해 온 산업부는, 석탄발전 전환 협의체를 통해 석탄발전 인프라의 재활용 계획 등 내용을 담은 ‘석탄발전 전환 로드맵’을 올 1분기 내 수립·발표한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관련 인프라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며, 정부·지자체·발전5사가 머리를 맞대고 이에 대한 활용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

 

출처: [쿠키뉴스 김재민 기자] 기사승인 2025-02-10 06:00:09

발전5사 발 빠른 에너지 전환…폐쇄 발전소 활용 방안은 ‘거북이 걸음’ https://www.kukinews.com/article/view/kuk20250205013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