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084 봄 여름 갈 겨울 [경남도민일보 발언대 전홍표 창원시의원] 2024.11.12. 2024. 11. 13. 하동 석탄발전 조기 폐쇄 - 재생에너지 확대 세미나 발제 자료 오늘 방금 전까지 열린 2024.11.11. 14:00-16:00 기후위기비상행동 줌 세미나 자료를 공유합니다.임재민. 2024. 경남지역 석탄을 넘어서: 기후위기대응과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과제이정필. 2024. 재생에너지 확대에 있어 하동의 역할 2024. 11. 11. 용지호수공원 내 친환경 탄소제로하우스 복합공간으로 재개방 [창원시보 344호] 2024.10.24. 2014년 건립된 에너지 절약 주거 홍보모델친환경 건축·문화예술 즐길 공간으로 제공성산구 용지동 용지호수공원 안에 있는 탄소제로하우스가 이달부터 다시 시민들을 맞이하고 있다.탄소제로하우스는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에너지 소요량을 최소화한 ‘에너지 절약 주거 홍보모델’이다. 지상 1층, 147㎡ 규모로 2014년에 건립되어 친환경 주택 체험관이자 시민강좌·교육·회의 장소로 운영됐다. 그러던 중 코로나19가 확산하면서 시민들의 발길이 점차 뜸해졌다.이에 시는 기후 위기와 녹색건축에 대한 시민 관심을 높이기 위해 탄소제로하우스에서 △친환경 건축 체험 △건축법률 무료 상담 △건축도서관을 운영하기로 했다. 또 △청년 작가·지역예술가의 작품전시 △시민참여 문화·예술 활.. 2024. 11. 11. 에너지 전환은 시민의 힘으로! (서명운동 링크) [탈석탄과 재생에너지 확대 서명운동]재생에너지 확대는 말뿐정부의 거꾸로 가는 기후정책, 에너지 전환은 시민의 힘으로 ! https://youtu.be/F_HF7P6urXI 서명 운동 참여하려면 여기를 클릭 (링크 : https://forms.gle/uQQrS2wQd6Veamg48) 탈석탄•재생에너지 확대 입법 촉구 서명개인정보 수집 이용 동의1.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이름, 소속, 연락처 등 2.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 목적: 제공하신 정보는 입법 추진 활동 참여 인원 확인과 안내 연락을 위해 사용합니다. 3.docs.google.com 2024. 11. 10. “NDC 달성하려면 11차 전기본 국제기준에 맞게 수립해야” [전기신문 오유진 기자]입력 2024.11.08 09:21 호수 4334 지면 7면 “전기, 어떤 에너지로 생산하냐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 크게 달라”“韓,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 OECD 국가 중 꼴찌…빠르게 늘려야”“원전, 헌재 판단처럼 미래세대에 부담 이전해 국민 ‘환경권’ 침해”https://www.elec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345655 권승문 연구기획위원 “NDC 달성하려면 11차 전기본 국제기준에 맞게 수립해야” - 전기신문기후위기에 따른 변화가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온실가스 감축과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한국도 이에 발맞춰 ‘2050 탄소중립’을 선언했고, 지www.electimes.com 2024. 11. 10. 남해 미조중학교 임대형 태양광발전사업, '경남햇빛~' 선정되다. 제6호기? 오늘(24.11.08.) 오후 남해 미조중학교에서 전화 통지: 임대형 태양광발전사업 제안 심사 결과 제안서를 접수한 모두 3곳 가운데 의외로 우리 조합이 선정되었다고 들었습니다. 켑코쏠라 같은 한전 자회사 또는 인근에 소재한 남해군조합이 선정될 줄 알았는데... 일단 소식 전합니다. 사전에 짜고 친 ***도 아니었고, 심사위원들의 평가를 취합해 선정한 결과인데. 우리 조합은 뒤늦게 사업공고에 접했습니다. 한 시공업체에 문의했더니 이미 2곳의 조합과 협의해 제안서를 냈다고 해서, 거의 포기하다가, 우리 조합과 MOU를 맺은 (주)대성쏠라에서 제안서 초안을 작성하겠다고 나서, 가까스로 제안서를 제출할 수 있었습니다. 미조중 공고에 따르면, '미조중 옥상 1,064 ㎡ 에 177kW 규모의 태양광 .. 2024. 11. 8.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3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