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적 경제 연대111

‘협동조합 크라우드 펀딩’으로 가치나눔 실현한다 [경제투데이 배용원 기자] 2020.09.16. ‘협동조합 가치-업 크라우드 펀딩 부산전용관’ 운영 [경제투데이] 부산시는 오는 10월 10일까지 사회적경제기업 크라우드 펀딩 전용 플랫폼 운영사인 오마이컴퍼니를 통해 부산의 8개 협동조합이 시민들에게 사업도 홍보하고 자금을 조달하는‘협동조합 가치-업 크라우드 펀딩 부산전용관’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협동조합의 어려운 자금조달 및 판로개척에 도움을 주고자 마련됐다. 시는 지난 7월, 협동조합 마케팅&크라우드 펀딩 교육을 실시해 사전 펀딩에 대한 프로젝트 구상을 시작했고 최종 8개 기업을 선정해 부산협동조합 전용관 펀딩 플랫폼을 운영한다. 참가기업은 모두 리워드형 크라우드 펀딩으로 진행한다. 참가기업 및 목표 프로젝트는 발달장애인 직무실습용 VR .. 2021. 2. 9.
협동조합 자금조달 해결책 '크라우드펀딩'에서 찾는다 [라이프인 이진백 기자] 2019.04.02. 협동조합 자금조달 해결책 '크라우드펀딩'에서 찾는다 더불어 사는 삶을 향한 호혜금융 '한살림펀딩' 협동조합은 일자리 창출, 지역사회 문제 해결 등 다양한 사회적 가치 창출에 기여할 수 있음에도 짧은 업력과 영세성, 낮은 수익성 탓에 금융기관으로부터 자금조달이 어렵다. 2012년 12월 협동조합기본법이 시행된 이후 매년 협동조합 수는 빠르게 급증했다. 기획재정부 자료에 따르면 협동조합법 시행 당시 53개에 불과했던 협동조합은 2019년 3월말 현재 1만5154개가 설립됐다. 하지만 협동조합에 대한 인식이 여전히 낮고 법제도가 미흡한 실정이며, 금융접근성, 자금조달 수단의 빈약함, 판로개척 등 자생력 제고 기반이 취약한 것도 사실이다. 특히 협동조합이 사회적경제.. 2021. 2. 9.
협동조합에 대한 편견을 넘어 박주희 (2017) 협동조합이 가진 편견을 넘다 : 핸리 한스만,『기업 소유권의 진화』 (북돋움출판사, 2017), 산위의 마을, 33, 102-106 [세상 안에서 세상과 다르게] “협동조합은 어떤 경우에 투자자 소유기업보다 경쟁력이 있나요?” “협동조합의 성공 요인은 뭘까요?” “이 업종에서 협동조합이 잘될까 요?” 협동조합 연구자들이 많이 받는 질문이다. 핸리 한스만의『기업소유권의 진화』 (박주희 옮김, 북돋움출판사, 2017; Henry Hansmann, 『The Ownership of Enterpris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6)는 이런 탐구에 도움이 될 만한 이론적 관점을 제시한다. 그는 투자자 소유기업, 노동자 소유기업, 원료공급자 소유기업, 소비자 소유기업.. 2021. 1. 19.
한국판 뉴딜과 사회적 경제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사회적 경제 정책포커스} Vol.3 ('20.12.) 여러 글들이 읽을만합니다. 특히 47쪽 이하 좌담회 '그린 뉴딜에서 사회적 경제조직의 역할과 과제'가 좌담회로 함께 이야기한 내용이라 그런지 읽기 편하고 내용도 좋습니다. 일독 강추! 아래 목차를 클릭하면 전체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목차 원문 다운로드: www.socialenterprise.or.kr/atchFileDownload.do?menuId=BO04&seqNo=244946&fileSeqNo=245045 2021. 1. 19.
교육공동체 벗의 10년 실험과 꿈: 정의(正義)의 길로 비틀거리며 가다 [한겨레 토요판, 채효정] 2020.01.09. 교육공동체 벗, 정의(正義)의 길로 비틀거리며 가다 : 사회일반 : 사회 : 뉴스 : 한겨레 (hani.co.kr) 교육공동체 벗, 정의(正義)의 길로 비틀거리며 가다 [토요판] 기획교육공동체 벗의 10년 실험과 꿈 사회 전체 시장화한 10년 전 창립‘한 명이 백 명을 먹여 살린다’기업가정신이 학교·사회 파괴 진보운동도 담론·운동 위기 심화교육정론지…단 www.hani.co.kr 2021. 1. 11.
[전환의 시대, 사회적 경제] 마을공동체와 공동체 기금(fund) www.kgnews.co.kr/news/article.html?no=616469 [전환의 시대, 사회적 경제] 마을공동체와 공동체 기금(fund) 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사업에서 주민 스스로 자생할 수 있으려면 기금(fund) 조성이 필요하며, 주민공동체로서 마을관리협동조합이 공동체기금 조성과 운영을 할 수 있게 될 때 주민 주체성 www.kgnews.co.kr 2020. 12.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