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에너지 뉴스/에너지 정보91

잭팟을 터뜨릴 분야는 핵발전이 아니라, 재생에너지여야 한다 [에너지정의핼동] 2024.07.18.   잭팟을 터뜨릴 분야는 핵발전이 아니라, 재생에너지여야 한다. - 수주 성공이 아니라 우선협상대상자가 된 것으로 성공 운운은 지나친 공치사- 국내 핵 정책 보장 운운은 국내 핵 위험을 지속하는 위험한 시도- 15년 만의 핵 수출을 반길 것이 아니라, 재생에너지 확대에 더 기여해야 산업부는 체코의 24조원에 달하는 신규 핵발전소 2기 건설 사업에서 한수원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이번 핵발전소 수출은 2009년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4기 건설에 이은 두 번째라며 환영 일색이다. 심지어 낙수효과를 기대하는 경제단체들도 나서서 쾌거라고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17일의 체코의 결정이 샴페인을 터뜨릴 만한 것인지 꼼꼼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너무.. 2024. 7. 20.
전력 수요 70% 수도권 쏠려…정책 중심, 공급 증대보다 수요 관리로 전환해야 [경향신문 김경학 기자] 입력 : 2024.07.18 21:11 수정 : 2024.07.18 21:13 송·배전망 등 전력 계통 포화 상태공급 많은 곳 상시 출력 제어 우려정부, 센터 집중 완화 대책 마련 중  ‘전기 먹는 하마.’ 에너지업계에서 데이터센터를 일컫는 별칭이다. 데이터센터 하나당 계약 전력은 적게는 40㎿(메가와트), 많게는 100㎿에 달한다. 일반 가정 1만3000~3만3000가구에 공급할 수 있는 양이다. 계약 전력은 전력 사용자가 한국전력공사에 신청하는 용량으로, 보유한 전기설비의 최대 용량을 모두 합한 것을 말한다. 초대량의 데이터를 학습하는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는 일반 데이터센터보다 더 많은 전력이 필요하다. 일반 데이터센터가 ‘하마’라면 AI 데이터센터는 ‘공룡’인 셈이다... 2024. 7. 19.
에너지 거래와 시장 운영 [시민발전이종협동조합연합회, 최종웅 (인코어드 CEO • 한국공학대학 석좌교수) 2024.07.12  협동조합맞춤형 아카데미 4회기 4강 강의자료 에너지 거래와 시장 운영.PDF 2024. 7. 16.
그늘 피해가며 효과적 전력 생산…‘해바라기형 태양광 모듈’ 개발 [농민신문 박병탁 기자] 2024.07.10. 도시환경에 최적화된 태양광 발전 방식이 개발됐다. 태양광 모듈이 태양 위치에 따라 모양을 바꾸면서 전기를 생산할 수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한국전기연구원(KERI)은 10일 전기변환소재연구센터 차승일 박사팀이 이같은 신개념 태양광 모듈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태양광은 햇빛을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기 때문에 무한한 천연자원으로 불린다. 다만, 도심지에서는 고층건물이나 가로수 등으로 생긴 그늘 때문에 발전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제기돼왔다. 이런 상황이 반복되면 모듈 내부의 전류가 막혀 발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이에 전기연은 태양광 모듈에 ‘해바라기형’ 신기술을 도입해 효율성을 높였다. 태양전지에 형상기억합금을 부착해 모듈이 태양 위치를 따라가며 모양을 바꿔 .. 2024. 7. 10.
전력수급기본계획 https://m.blog.naver.com/hoonyang/223035151392 [전력수급기본계획]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2022-2030) [ 전력수급기본계획 ]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2022년 - 2036년)'전력수급기본계획'은 「전기사업법」에 근거한 전력 수급(수요 및 공급)의 안정을 위해 2년 단...blog.naver.com  [전력수급기본계획] 제10차 송배전 설비 계획 (2022~2030) [ 전력수급기본계획 ] 제10차 장기 송변전설비계획 (2022년 - 2036년)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 전력수급기본계획 ] 제10차 장기 송변전설비계획 (2022년 - 2036년)한국전력공사는 전기사업법 제25조 및 제27조에 의거 2년마다 15년간 필요한 송전·변전설비.. 2024. 7. 10.
MVDC기술, IEC백서 선정…국제표준 선도할 기회 [한겨레 왜냐면] 장길수 |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수정 2024-06-24 19:05 등록 2024-06-24 18:43전 세계가 탄소 중립에 동참하면서 에너지원의 무탄소화·저탄소화와 생활 속 전기화가 여러 분야에서 가속하고 있다. 전력 계통에서 에너지 전환을 통해 화석 연료 기반의 발전원에서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로 주요 에너지원이 변화하고 있으며, 데이터 센터와 전기차 충전 등 새로운 형태의 전력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새로 등장한 설비는 주로 직류(DC)를 사용하고 있어, 기존 시스템 접속 때 교류(AC)-직류 변환을 거쳐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비효율성이 발생할 수 있다. 소비자 근처에서 생산된 태양광, 연료전지, 배터리 등의 에너지원을, 직류가 필요한 소비자가 직접 사용하는 것이 더.. 2024. 6.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