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바로알기: 시민의 힘으로 에너지 전환85 에너지 전환으로 미래를 바꾸다 어제 부산시민햇빛에너지협동조합과의 교류 모임에서 에너지교육에 대한 부산의 경험을 들을 수 있었고 뭔가 좀 더 알아볼 필요를 느꼈다. 그게 무엇일까 해서 오늘 약간의 검색을 해보니 지난 해 말 미래에너지교육 토크 콘서트 개최 기사와 관련 블로그가 눈에 띄었기에 여기 소개한다. 어제 내 관심을 끈 것은 기후변화 에너지 교육센터 비슷한 교두보를 확보하는 거였는데 부산에서 상당히 다채로운 시도, 문화적 접근을 가미한 새로운 기획이 진행되고 있는 걸로 보인다. https://m.sedaily.com/NewsView/1VS4EXD7EG/GA01#cb '에너지 전환으로 미래를 바꾸다'…미래에너지교육 토크콘서트 개최 19일과 20일 부산 롯데백화점 광복점에서 미래에너지의 필요성을 알리는 ‘미래에너지교육 토크콘서트’가 .. 2020. 8. 5. 부산대 에너지기술인력양성센터, 태양광 종합실무 강좌 7.14.~15. 2일간 www.industr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8729 부산대, 태양광 전문가 육성 나서 - 인더스트리뉴스 [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부산대학교 에너지기술인력양성센터가 태양광발전 기획, 설계 및 시공 실무 인력 양성을 위해 ‘태양광발전시스템의 기획, 설계, 시공 종합실무’ 강좌를 7월 14�� www.industrynews.co.kr 2020. 7. 10. 신재생에너지데이터센터 https://kier-solar.org/user/main.do 신재생에너지 데이터센터 kier-solar.org 2020. 6. 19. 에너지, 사용자와 직접 소통할 때 [한겨레] 김정태, 2020.04.30.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은 지난해부터 매우 흥미로운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사용자 참여형 에너지 문제정의 프로세스와 플랫폼을 만드는 작업입니다. 사용자 참여형이란 어떤 의미일까요? 기후위기와 관련하여 재생에너지 수요가 높아지는 가운데 재생에너지 확산에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는 지역 수용성입니다. 과거 에너지란 기간산업으로서 공급자가 만든 방식을 사용자는 주어진 대로 사용하던 방식이었습니다. 에너지가 어떻게 만들어졌으며 어떻게 전달되는지에 대한 선택권이 없던 것이 현실입니다. 마트에서 음식을 살 때 원산지 표기나 열량, 재료 표기 등을 보며 소비자가 선택권을 가질 수 있는 시대가 되었지만 에너지는 상황이 매우 다릅니다. 내가 쓰는 에너지에 관련해서도 화.. 2020. 4. 30. 신재생에너지의 이해 [시흥아카데미] 에너지시민학교 1강 「신재생에너지의 이해」 - 이유진(녹색전환연구소 연구원) 강의명 : 에너지시민학교 1강 내 용 : 신재생에너지의 이해 강 사 : 이유진 / 녹색전환연구소 연구원 촬영일시 : 2018. 01. 05 (금) 영상길이 : 1시간 30분 59초 ——————————————————————————— [시흥아카데미] 에너지시민학교 ■ 총 장 : 김윤식 / 시흥시장 ■ 학교장 : 이유진 / 녹색전환연구소 연구원 ■ 촬영 : 권유주 ■ 편집 : 권유주 ■ 제작 : 시흥시 Category Education Licenc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licence (reuse allowed) https://www.youtube.com/watch?v=2FSNd8mXJu.. 2020. 2. 25. 에너지 전환, 효율이 먼저다 * 방송일시 : 2019년 3월 7일(목) 밤 7시 50분, EBS1 질문 있는 특강쇼-빅뱅: 에너지 전환, 효율이 먼저다 에너지 효율 전문가 이성인 박사 전기를 사용하는 형광등, 석유화학제품인 옷과 스마트폰 등 우리는 에너지를 사용하여 만든 물건에 둘러싸여 생활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 오염, 지구 온난화 등과 같은 부정적 외부효과는 비단 우리나라만의 문제는 아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서는 그 해결책으로 ‘에너지 효율 혁신 정책‘을 권고하고 있다. 그래서 이번 주 에서는 에너지 효율 전문가 이성인 박사와 함께 우리나라에 맞는 에너지 효율 혁신 정책에 대해 이야기해 본다. 에너지, 무조건 안 쓰는 것만이 정답?! 19세기 산업혁명 이후 지구 평균 기온이 상승하면서 극.. 2020. 2. 25.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