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바로알기: 시민의 힘으로 에너지 전환85 우리 집 작은 발전소 '미니 태양광' 다큐를 보고 [다큐S프라임] / YTN 사이언스 2019.7.5. 경남의 아파트 옥상 공동주택 태양광대여사업 활성화의 꿈 생활 속에서 에너지를 아낄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한데요. 단순히 절약을 넘어, 직접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방법도 있습니다. 바로, 미니 발전소로 불리는 가정용 태양광을 통해서인데요. 가정용 미니 태양광이 미세먼지와 탄소배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까요? ...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 우리 집 작은 발전소 '미니 태양광'이라고 하지만 여기서 미니 태양광은 태양광 모듈을 가정용 주택 또는 건물의 옥상에 설치하여 발전한 전기를 콘센트에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생산 소비하는 미니발전소의 여러 유형을 두루 .. 2023. 2. 18. 탈원전 시대, 공동체 에너지 활성화가 답이다 [한겨레 이봉현 기자] 등록 2017-07-13 10:34 수정 2017-07-16 15:10 https://m.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802620.html 탈원전 시대, 공동체 에너지 활성화가 답이다 [HERI 쟁점진단] 에너지 자립마을·햇빛발전 협동조합 등 시민참여로 만드는 에너지 주목 www.hani.co.kr [HERI 쟁점진단] 에너지 자립마을·햇빛발전 협동조합 등 시민참여로 만드는 에너지 주목 광주햇빛발전협동조합이 지난 2월22일 광주 광산구 진곡산단 그린카진흥원에 세운 ‘광주시민햇빛발전소 1호기’의 모습. 연합뉴스 우리나라에서 최초의 원자력발전소인 고리원전 1호기가 지난달 18일 자정에 가동을 중단했다. 운영된 지 40년 만이다. 지난달 26일.. 2023. 2. 4. 경남환경교육원의 「2023년 우수환경교육프로그램 운영 지원사업」 공고 경남환경교육원의 「2023년 우수환경교육프로그램 운영 지원사업」을 공고입니다. 사업계획서 제출 기한: 2023. 1. 20일(금) 17시까지. 1. 사업기간 : 2023년 4월 ~ 12월 2. 지원규모 : 10개 기관·단체(단체별 7,000천원) 3. 대 상 : 도내 환경교육 관련 기관·단체 4. 대상사업 : 사회·학교환경교육 관련 프로그램 운영(온라인 교육 포함) - 기후위기대응, 지속가능발전교육, 생태전환교육, 해양환경교육, 자원재활용교육 등 5. 신청방법 - 지원사업 신청서(구비서류 포함)를 작성하여 공고기한 내 제출 - 환경교육원 서류 방문 제출 및 등기우편 접수 6. 지원사업 설명회 개최(1차) 안내 - 일 자 : 2023. 1. 10.(화), 15:00~16:00 - 운영방법 : 온라인 쌍방향.. 2023. 1. 4. 벌거벗은 세계사 20년안에 다죽는다 https://m.blog.naver.com/ghkdeoqkr0130/222941429713 벌거벗은 세계사 재방송 75회 보러가기 인류 멸망 20년안에 다 죽는다 tvN 화요일 예능 다시보기 11월 29일 방송되는 tvN 벌거벗은 세계사 75회에서는 기후 위기를 다루며 재앙을 통해 인류의 생존이 달린... blog.naver.com 2022. 11. 30. 에너지사회와 탄소발자국 지난 주 11.24. (목) 창원대학교에서 열린 학술세미나에서 박민원 교수님의 "에너지사회와 탄소발자국 발표" 동영상입니다. 본인 왈 "내용이 많이 깁니다. 그냥 안보셔도 됩니다...ㅎㅎ". 하지만 틈내서 들어보기 강추! 박 교수님의 전공 내공이 묻어나는 깊고 넓은 관점과 튼튼한 데이터 백업도 달리 보기 힘들지만, 무엇보다 이 문제를 파고 들어가는 끈질긴 열정 + 사회과학자들과의 협업 제안이 돋보입니다. https://youtu.be/XJAf_AOePG0 2022. 11. 28. {우리가 알아야 할 재생에너지의 모든 것}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 2022. 일반인의 눈높이에 맞추어 사실 위주로 쉽게 작성된 책 권필석 외 2022. {우리가 알아야 할 재생에너지의 모든 것},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 추천의 글 기후 위기와 탄소중립 사회에 대한 우리 사회의 논의가 뜨겁다. 기후 위기에 대한 우려는 과거에도 있었지만 지구촌에서 최근 자주 발생하는 산불, 홍수, 가뭄 등과 같은 재난을 보면 무엇인가 좋지 않은 변화의 전조가 아닌가 생각되곤 한다. 2020년 우리나라 정부가 7월 한국판 뉴딜의 하나로 그린뉴딜 정책을 발표하고 그해 10월 탄소중립을 선언한 후 논의는 급물살을 띠었다고 할 수 있다.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가 2030년 40%로 상향 수정 제안되고 2050년 탄소중립사회를 위한 시나리오가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탄소중립에 대한 갑작스러운 논의가 진보.. 2022. 11. 26. 이전 1 ··· 3 4 5 6 7 8 9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