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빛발전/정부정책179 신재생에너지 보급지원에 3112억원 투입 신재생에너지 보급지원에 3112억원 투입 -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 이투뉴스 (e2news.com) 신재생에너지 보급지원에 3112억원 투입 - ::: 글로벌 녹색성장 미디어 - 이투뉴스 [이투뉴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가 신재생에너지설비를 설치하는 주택 및 건물 소유주에게 비용 일부를 지원한다. 주택건물지원에는 1435억원, 융복합지원‧지역지원에는 1677억원을 각 www.e2news.com 올해 신재생 보급 3,112억원 규모 지원 - 투데이에너지 (todayenergy.kr) 올해 신재생 보급 3,112억원 규모 지원 - 투데이에너지 [투데이에너지 송명규 기자] 정부가 올해 건물태양광 지원한도를 늘리고 BIPV(건물일체형태양광) 예산을 확대하는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지원규모를 .. 2021. 4. 5. 다국적 기업 탄소중립 속도전...정책 뒷받침 절실 다국적 기업 탄소중립 속도전...정책 뒷받침 절실 - 경남도민일보 (idomin.com) 다국적 기업 탄소중립 속도전...정책 뒷받침 절실 - 경남도민일보 기후위기를 정의의 문제로만 볼 수 있을까요. 경제적 논리로 기후위기를 말할 수도 있습니다. 기후위기 대처가 늦어질수록 인류 경제가 치러야 할 비용이 막대하게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이러 www.idomin.com 경남도가 올해 3대 중점과제 중 1개로 '기후위기 대응 강화'를 내놓았다. 그중에서도 재생에너지 규제자유구역 지정과 기후영향평가제 도입을 눈여겨볼 만하다. 이는 환경단체와 전문가 사이에서도 획기적인 일로 주목받고 있으며, 경남도의 추진 방향과 성과에 따라 전국 모델로 부상할 가능성이 큰 정책들이다. 2021. 2. 3. 한국형 RE100 본격 도입...재생E 전기 선택적 구매 가능 [에너지신문 권준범 기자] 2021.01.05. '제3자 PPA' 도입 위한 전기사업법 시행령 5일 국무회의 통과 한전·에너지공단, 녹색 프리미엄 입찰·REC 거래 시범사업 공고 기업 등 전기소비자가 재생에너지 전기를 선택적으로 구매, 사용할 수 있는 '한국형 RE100(K-RE100)' 제도가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도입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이같은 내용의 '전기사업법 시행령'이 국무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RE100은 사용전력을 100% 재생에너지로 조달하는 자발적 캠페인이다. 산업부는 지난해 그린뉴딜 정책간담회를 통해 국내 RE100 이행 지원방안을 발표했으며 이후 법령 정비, 시스템 구축 등 제도 시행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왔다. 이와 함께 국내 기업, 공공기관 등을 대상으로 RE100.. 2021. 1. 27. 「국유재산법」 또는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에도 불구하고 수의계약으로 국유재산 또는 공유재산을 임대 또는 처분할 수 있다. (신재생에너지법) 경남도청 혁신파크 건물 옥상에 햇빛발전소 설치를 협의하는 중 봉착한 난관을 푼 법규이다. 문제는 도청의 담당부서에서 공유재산을 수의계약에 의해 임대할 수 있는 경우를 정한 국유재산법이나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에 따른 조례상 우리 조합은 사회적 협동조합이나 사회적 기업이 아니라 수의계약을 할 수 없다는 것... 그런데 전에 창원시와 할 때에는 틀림없이 수의계약을 했는데... 그때는 어떻게 가능했을까? 뒤지다가 발견한 홍두깨 방망이. 신재생에너지법 (정식 명칭은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ㆍ이용ㆍ보급 촉진법) [시행 2020. 10. 1.] [법률 제17169호, 2020. 3. 31., 일부개정] 제26조(국유재산ㆍ공유재산의 임대 등) ①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는 국유재산 또는 공유재산을 신ㆍ재생에너지 기.. 2021. 1. 26. 농지법 개정안(김승남의원대표발의) 철회 요구 성명서 및 보도자료 문의 : 기후위기비상행동 농업ㆍ먹거리 모임 박승옥 010-2246-3443 성 명 서 농업진흥구역에 영농형 태양광을 허용하는 농지법 개정안(김승남 의원 대표 발의)은 농지도 죽이고, 햇빛발전도 죽이고, 농민도 죽이고, 식량주권도 죽이는 1법(法) 4살(殺)의 살처분 법입니다. 이런 악법[안]은 즉각 철회해야 마땅합니다. 지난 1월 11일 김승남 의원은 농지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하였습니다. 농지법을 개정해 농업인의 소득 향상과 농촌지역 경제 활성화, 에너지 부족과 환경오염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 농업진흥구역에 영농태양광 시설을 허용한다는 내용입니다. 우리는 임계점을 넘어선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하루라도 빨리 화석연료 발전소를 폐쇄하고, 재생에너지로 전환을 이루기 위해 다양한 방식의 햇빛발전 보급 확대에 .. 2021. 1. 26. 100kW 이하 소형 영농형 햇빛발전으로 언제 정부의 3020 정책 목표인 37GW를 달성할 수 있느냐는 의문에 대한 의견 다음은 햇빛발전 보급 확대 정책이 한전 중심 중앙집중형 에너지체제에서 에너지 주권자인 국민중심의 분산형 분권형 에너지로 중심 이동, 방향 전환을 해야 한다는 사회적 협동조합 햇빛학교 이사장 박승옥 선생님의 의견입니다. 저자의 동의를 얻어 여기 소개합니다. 널리 공유해 주시고 검토의견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100kW 이하 소형 영농형 햇빛발전으로 언제 정부의 3020 정책 목표인 37GW를 달성할 수 있느냐는 의문에 대한 의견 박승옥 (햇빛학교 이사장) 1. 이제는 법인기업과 자본 중심의 햇빛발전 보급 확대 정책이 아니라 에너지 주권자인 국민 중심의 햇빛발전 보급 확대 정책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 지금까지 정부의 햇빛발전 보급 확대 정책은 법인기업과 자본 중.. 2021. 1. 8.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