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에너지 뉴스/기후변화 대응

기후변화 대책도 미-중 대결…‘2050 탄소중립’ 불발

by 심상완 2021. 11. 2.

[한겨레 정의길 기자] 2021.11.02.

간극 확인한 G20 정상회의

지구온난화 문제는 ‘신냉전’이라 불리는 국제적 갈등 속에서도 미국과 중국이라는 ‘두 거인’ 간의 국제적 연대가 가능한 의미 있는 고리라 여겨져왔다. 하지만 지난 30일부터 이틀 동안 로마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는 이 문제를 매개로 미-중 협력 등 국제연대를 이뤄내는 게 결코 쉽지 않은 과제임을 일깨워줬다.이번 회의의 핵심 관심사는 31일(현지시각) 영국 글래스고에서 개막한 제26회 유엔기후변화회의(COP26)에 앞서 세계 주요국이 기후변화 대책과 관련해 ‘일치된 목소리’로 의미 있는 결단을 내놓을 수 있을지 여부였다. 결론적으로 미-중 사이의 알력으로 인해 ‘절반의 대책’만이 나온 것으로 평가된다.주요 20개국 정상들은 31일 공개된 공동선언문에서 “우리는 지구 평균온도 상승을 2℃ 이하로 억제한다는 파리기후협정을 준수하면서도, 산업화 이전 수준보다 1.5℃ 이상이 되지 않도록 억제하는 노력을 추구하기로 했다”는 데 합의했다. 파리협정보다 1.5℃ 목표를 더 강조한 ‘진전된 공약’이 나온 셈이다.

하지만 이를 달성할 구체 대책은 여전히 미완성이었다. 기후변화의 주 현상인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탄소배출을 ‘0’으로(탄소중립) 하는 시점에 대해 이견을 좁히지 못한 것이다. 그동안 과학계는 2050년까지는 탄소중립을 이뤄야 한다고 촉구해왔고, 미국 등 선진국들은 이번 회의를 통해 2050년을 못박으려 했다. 하지만 중국을 필두로 러시아·인도가 연기를 주장해 “금세기 중반까지”(around mid-century) 달성한다는 어구를 넣는 등 애매하게 절충했다. 최대 탄소배출국인 중국·러시아는 ‘2060년으로 연기’를 주장했고, 인도는 시점을 제시하지도 않았다. 주요 배출국의 이견으로 기후변화를 늦출 수 있는 의미 있는 진전이 이뤄지지 못한 것이다.이런 징조는 이번 회의 개최 전부터 나타나기 시작했다. 2020년 초 코로나19 대유행이 시작된 뒤 주요국 정상들이 모이는 첫 대면 회의였지만,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직접 참가하지 않아 회의의 한계를 예고했다. 결국,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31일 기자회견에서 “러시아와 중국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약속을 하는 데 모습을 드러내지도 않았다는 사실에 실망했다”고 비판했다. 최대 탄소배출원인 ‘석탄 사용’과 관련해서도 실효성 있는 대책이 나오지 않았다. 정상들은 올해 말까지 해외의 석탄발전소에 대한 자금 지원을 중단한다고 합의했지만, 자국 내 석탄발전을 언제 끝낼지에 대해서는 ‘가능한 한 빨리’라는 문구로 얼버무렸다. 선진국들은 ‘2030년대 말까지’라는 구체적 목표를 정하자고 했지만, 인도 등이 반대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기후변화 대책에 관해 “희망들이 충족되지 않았으나, 땅에 파묻히진 않은 채 로마를 떠난다”는 말로 이번 회의의 의의와 한계를 지적했다. 그동안 미-중은 악화되는 양자 관계 속에서도 기후변화는 서로 협력할 수 있는 분야라고 말해왔지만 현실은 달랐던 셈이다. 특히 양국 간 최대 현안인 대만 문제 등으로 불신이 증폭된 점이 이번 회의의 성패를 갈랐다....

원문보기: [한겨레 정의길 기자] 2021.11.02.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1017547.html#csidx06e06b926a00cd4aad77021bcdd1108 

 

기후변화 대책도 미-중 대결…‘2050 탄소중립’ 불발

간극 확인한 G20 정상회의

www.hani.co.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