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뉴스/에너지전환346 전력생산밀도를 고려한 재생에너지 수급 안정과 거래 활성화 방안 [투데이에너지 이상석 기자] 입력 2025.03.21 16:26국회 입법조사처, RE100 위한 대안 제시국회 입법조사처(이하 '조사처')는 최근 '전력생산밀도를 고려한 재생에너지 수급 안정과 거래 활성화 방안' 보고서를 발표해 재생에너지 분야의 현실과 문제점에 대한 의견을 냈다. 이 보고서에서 먼저 정부가 발전차액 지원제(FIT)와 공급의무제(RPS)를 통해 재생에너지를 보급해왔으나 FIT는 고비용으로 인해 2023년 7월 중단됐으며 RPS는 공급인증서(REC)에 대한 과도한 대금 지급과 수요 초과 문제로 폐지가 논의중이라면서 현재 정부가 정부입찰을 RPS의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는 현실을 되짚었다.[...] 이 보고서는 영국 에너지연구소의 기록을 인용해 2023년 전세계 총발전량인 29.9PW 중에서 .. 2025. 3. 28. 해상풍력법 통과, 서남해안에 햇살 비친다. [피렌체의 식탁] 2025.03.06.http://www.firenzedt.com/news/articleView.html?idxno=31207 해상풍력법 통과, 서남해안에 햇살 비친다윤석열 정부의 무지와 무능, 게으름에도 불구하고 재생에너지 시대는 점점 다가오고 있다. 에너지환경정책학 박사인 서왕진 의원이 전공을 살려 2월말 해상풍력특별법을 통과시켜 그 배경을 들www.firenzedt.com 2025. 3. 6. 2050, RE100 달성 가능한가 -- 태양광·풍력 잠재량의 10%밖에 못 쓴다…인허가·입지 '규제 쇠사슬'의 덫 [한국일보 나주예 기자] 입력 2024.07.22 10:00 수정 2024.07.22 11:37 4면 [2050, RE100 달성 가능한가] 재생에너지 충분히 쓸 수 있을까지리 여건 고려한 재생에너지 잠재량 '666TWh'국내 RE100 기업들 1년 전력 사용량 '56TWh'지리 여건에 '규제' 반영하면 잠재량 확 줄어태양광은 1/8, 해상풍력은 1/10 수준으로 축소"잠재량 현실화할 규제 완화 노력 필요하다: 기사 원문 링크: 태양광·풍력 잠재량의 10%밖에 못 쓴다…인허가·입지 '규제 쇠사슬'의 덫 | [한국일보 나주예 기자] 입력 2024.07.22 10:00 수정 2024.07.22 11:37 4면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71713520.. 2025. 3. 4. [박상욱의 기후 1.5] 전력의 청정화? 국가 경쟁력의 강화! [JTBC 박상욱 기자] 현실이된 기후위기 입력 2025.03.03 08:00 '먼 미래'에서 '내 일'로 찾아온 기후변화 (277) 우리나라 에너지 대계(大計)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톺아보기 (상) 출처: [JTBC 박상욱 기자] 현실이된 기후위기 입력 2025.03.03 08:00 https://news.jtbc.co.kr/article/NB12237320?influxDiv=JTBC [박상욱의 기후 1.5] 전력의 청정화? 국가 경쟁력의 강화! | JTBC 뉴스2022년 기준, 재생에너지의 발전비중이 독일(39.4%), 프랑스(26.1%), 일본(21.5%), 미국(21.1%) 등 선진국뿐 아니라 브라질(87.5%), 베트남(49.1%)...news.jtbc.co.kr 2025. 3. 4. 고준위법·전력망법 국회 통과했지만…부지선정·주민반대로 첩첩산중 [한겨레 옥기원 기자] 수정 2025-02-27 17:26 핵발전소(원전) 부지 내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 건설과 주민 수용성 배제 등의 지적이 제기된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 특별법(고준위법)과 국가기간전력망 확충 특별법(전력망법)이 27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고준위법은 지난 2016년 국회에서 첫 논의를 시작한 지 9년만, 전력망법은 2023년 이후 약 3년만에 국회 문턱을 넘게 된 것이다. 다만 두 법 모두 주민 기피시설인 방폐장이나 송전망 건설을 ‘간소화’하는 절차를 담고 있어 벌써부터 환경단체와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고준위법은 현재 가동 중인 전국의 26개 원전에서 발생하는 ‘핵폐기물’(사용후핵연료)의 영구저장 시설 등을 마련하는 근거가 담겼다. 2050년까지 별도의 중간 저.. 2025. 3. 3. "유럽은 에너지 대란인데 슐뢰벤은 소똥 덕분에 걱정 없으니 부럽죠" [한국일보 김진주 기자] 입력 2022.09.22 04:30 6면 에너지 걱정 없는 독일 에너지 자립마을 슐뢰벤소똥으로 바이오가스 생산, 마을 열 80% 충당남는 열 팔아 남는 수익은 마을 주민들끼리 나눠협동조합 통한 시민참여로 불필요한 갈등 없애우리나라는 여전히 공공주도... 주민 설득 어려워갈등 끝에 올해 4월에야 첫 삽 떠...2024년 완공 "바로 옆 동네에 사는데 여기서 일하며 바이오가스 좋은 점을 많이 느낍니다. 특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가스 요금이 많이 올라 걱정들이 많은데 여기는 바깥 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아 부러울 따름이죠."14일(현지시간) 독일 중부 작은 도시 슐뢰벤의 열병합 발전 시설에서 만난 폴커 베이어씨는 슐뢰벤의 에너지 자립을 치켜세웠다. 모두가 에너지 위기를 입에 .. 2025. 3. 2. 이전 1 2 3 4 5 ··· 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