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뉴스803 중소기업 탄소중립 지원 법안과 지원 사업 [ 국회의원 김정호 + 녹색전환연구소 주최] 중소기업 탈탄소 지원 법안 간담회 (2025.03.07.,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의실) "국제정세 변화에도 불구하고 탄소중립에 대한 규제 기조는 유지될 것이다. 지금부터 중소기업의 탄소중립 목표를 명시한 중소기업 탄소중립 지원법을 마련해야 한다." 지현영 녹색전환연구소 부소장 "정부, 지자체 그리고 기업들이 상생협력하여 중소기업 탄소중립을 촉진하기 위한 법안을 마련했다." 이진우 보좌관(김정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 중소기업이 한국 산업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30%를 차지한다는 사실 알고 계시나요? 그런데 중소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탈탄소 경영을 실행할 역량과 인력이 열악한 상황입니다. 중소기업의 탄소중립 달성을 도울 정부 주도의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 2025. 3. 10. 해상풍력법 통과, 서남해안에 햇살 비친다. [피렌체의 식탁] 2025.03.06.http://www.firenzedt.com/news/articleView.html?idxno=31207 해상풍력법 통과, 서남해안에 햇살 비친다윤석열 정부의 무지와 무능, 게으름에도 불구하고 재생에너지 시대는 점점 다가오고 있다. 에너지환경정책학 박사인 서왕진 의원이 전공을 살려 2월말 해상풍력특별법을 통과시켜 그 배경을 들www.firenzedt.com 2025. 3. 6. 2050, RE100 달성 가능한가 -- 태양광·풍력 잠재량의 10%밖에 못 쓴다…인허가·입지 '규제 쇠사슬'의 덫 [한국일보 나주예 기자] 입력 2024.07.22 10:00 수정 2024.07.22 11:37 4면 [2050, RE100 달성 가능한가] 재생에너지 충분히 쓸 수 있을까지리 여건 고려한 재생에너지 잠재량 '666TWh'국내 RE100 기업들 1년 전력 사용량 '56TWh'지리 여건에 '규제' 반영하면 잠재량 확 줄어태양광은 1/8, 해상풍력은 1/10 수준으로 축소"잠재량 현실화할 규제 완화 노력 필요하다: 기사 원문 링크: 태양광·풍력 잠재량의 10%밖에 못 쓴다…인허가·입지 '규제 쇠사슬'의 덫 | [한국일보 나주예 기자] 입력 2024.07.22 10:00 수정 2024.07.22 11:37 4면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71713520.. 2025. 3. 4. [박상욱의 기후 1.5] 전력의 청정화? 국가 경쟁력의 강화! [JTBC 박상욱 기자] 현실이된 기후위기 입력 2025.03.03 08:00 '먼 미래'에서 '내 일'로 찾아온 기후변화 (277) 우리나라 에너지 대계(大計)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톺아보기 (상) 출처: [JTBC 박상욱 기자] 현실이된 기후위기 입력 2025.03.03 08:00 https://news.jtbc.co.kr/article/NB12237320?influxDiv=JTBC [박상욱의 기후 1.5] 전력의 청정화? 국가 경쟁력의 강화! | JTBC 뉴스2022년 기준, 재생에너지의 발전비중이 독일(39.4%), 프랑스(26.1%), 일본(21.5%), 미국(21.1%) 등 선진국뿐 아니라 브라질(87.5%), 베트남(49.1%)...news.jtbc.co.kr 2025. 3. 4. 미국 원전 15기 전력량 줄인 ‘그린버튼’…한국 공공기관에도 도입 [한겨레 옥기원 기자]수정 2025-03-03 20:01 등록 2025-03-03 14:34 스마트폰 앱 클릭 한번으로 최근 사용한 전기와 가스 등 에너지 사용량이 그래프로 나타난다. 인공지능이 사용자의 소비 패턴을 분석해 전기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그 결과 전체 사용자의 에너지 사용량과 요금이 줄고, 원전 등 전력 생산 시설을 추가로 짓지 않아도 되는 선순환으로 이어졌다. 미국에서 2012년부터 추진 중인 ‘그린버튼’ 시스템에 대한 이야기다. 전기·가스 사용량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공유해 사용자의 에너지 절약을 유도하기 위해 도입한 정책으로, 현재까지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만 대형 원전 15기가 생산하는 전력량(1500만kWh)을 줄였다. 전력 생산 시 발생하는 2290만톤 온실가스를.. 2025. 3. 3. 고준위법·전력망법 국회 통과했지만…부지선정·주민반대로 첩첩산중 [한겨레 옥기원 기자] 수정 2025-02-27 17:26 핵발전소(원전) 부지 내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 건설과 주민 수용성 배제 등의 지적이 제기된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 특별법(고준위법)과 국가기간전력망 확충 특별법(전력망법)이 27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고준위법은 지난 2016년 국회에서 첫 논의를 시작한 지 9년만, 전력망법은 2023년 이후 약 3년만에 국회 문턱을 넘게 된 것이다. 다만 두 법 모두 주민 기피시설인 방폐장이나 송전망 건설을 ‘간소화’하는 절차를 담고 있어 벌써부터 환경단체와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고준위법은 현재 가동 중인 전국의 26개 원전에서 발생하는 ‘핵폐기물’(사용후핵연료)의 영구저장 시설 등을 마련하는 근거가 담겼다. 2050년까지 별도의 중간 저.. 2025. 3. 3. 이전 1 ··· 4 5 6 7 8 9 10 ··· 134 다음